자동차를 이용하면서 크고 작은 고장이 있을 때는 해당 자동차 회사의 AS 받거나 근처의 공업사에서 수리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용자로써 관리를 해야 하는 몇 가지 항목도 있으며 관리를 하지 않게 되면 차량에 중대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 중 한 가지가 오늘 안내해볼 엔진오일 교환에 대한 내용입니다. 엔진오일은 언제 교환을 해야 하는지 어떤 엔진오일로 교환을 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 소중한 내차를 조금 더 안전하고 오랫동안 탈 수 있게 관리해 봅니다.
엔진오일 교환주기
1. 종류
2. 교환주기
3. 관리
1. 엔진오일의 종류
엔진오일은 크게 광유와 합성유 두 가지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 원유에서 일차적으로 뽑아낸 오일이 광유로 불순물 함량이 높고 무언가가 첨가되지 않은 오일이라고 볼 수 있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국산 자동차에 일반적으로 넣는 오일입니다.
합성유는 광유 베이스에 광유만으로는 부족한 윤활성 등을 보완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무언가를 첨가 및 제조한 오일로 불순물 함유량이 적어지고 고압력 고온도에서 점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어 더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윤활 활동을 도와주기 때문에 광유보다 조금 고가 이기는 하지만 차량관리를 중요하게 여기시는 분이나 고급 차량이나 수입차량 타시는 분이 많이 이용하시는 오일입니다.
2. 엔진오일 교환주기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정답은 없습니다. 보통 알려져 있기로는 1만 km 내외 1년 내외에서 교환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국내 차량 수입차량 제조사들이 권장하는 오일 교환 주기가 다르고 운전자의 운전 습관이나 환경에 따라 교환 주기를 짧게 혹은 길게 가져 볼 수 있습니다.
하루 주행거리가 얼마 되지 않으며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시내주행이 주된 주행이라면 가혹 조건으로 5천 km마다 교환하시는 분도 있으시며 고속도로 장거리 운행이 주된 주행이라면 1만~1만 5천 km 정도에 교환하시는 분도 있습니다.
때문에 엔진오일 교환주기는 본인이 운행하는 본인의 차량을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를 잘 파악해서 본인만의 엔진오일 교환 주기를 설정하시는 게 좋습니다. 엔진오일 교환 직후의 운행 느낌을 잘 기억해 두시고 어느 정도 지났을 때 교환 직후의 주행 질감이 변함이 있을 때 그때 정도 교환하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3. 엔진오일 관리
엔진오일 교환을 일정 기간에 맞춰 교환을 하지 않는다고 해서 바로 차량에 문제가 생기거나 하지는 않지만 어느 순간부터 차량의 떨림이 심해진다던지, 연비가 나빠진다던지, 액셀을 밟았을 때 이전만큼 출력이 나오지 않는다든지 할 때는 교환 주기가 왔음을 인지하고 교환하시는 게 좋습니다. 이 시기가 지나고도 계속해서 교환하지 않을 경우에는 가볍게는 연비 저하나 연료계통의 크고 작은 고장이 발생하며 더 나아가서는 엔진 전체가 고장 나는 대참사가 벌어질 수도 있습니다.
평소에 엔진오일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방법도 좋은 방법이니다. 보닛을 열면 엔진오일을 체크할 수 있는 체크 바를 체크함으로써 엔진오일이 얼마나 오염되었는지 용량은 적절하게 유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직접적으로 체크할 때 주의사항으로는 운행 직후의 엔진오일은 고온이기 때문에 장갑을 끼고 확인하셔야 화상에 부상을 당하지 않을 수 있으며 운행 직후보다는 10분 정도 있다가 체크하는 것이 조금 더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굉장히 사소한 일 일수 있지만 엔진을 감싸고 윤활하는 일이 결코 사소한 일이 아니기 때문에 엔진오일 관리에 조금 더 신경을 쓴다면 나의 소중한 자동차를 훨씬 더 오랫동안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며 운행 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세 납부기간 (0) | 2022.07.13 |
---|---|
자동차 에어컨 냄새 제거 확실하게 (0) | 2022.07.11 |
여름철 자동차 관리 방법 이것만 보세요 (0) | 2022.07.11 |
요소수가격 보충방법 보충시기 (0) | 2022.07.07 |
겨울철 타이어 적정 공기압 (경고등 대처방법, 무료충전) (0) | 2022.01.19 |
댓글